- K리그1, 2 26개 전 구단이2026시즌K리그1참가 자격에 해당하는K리그1라이선스를 모두 취득했다.
- 클럽자격심의위원회는 이달22일(수)회의를 통해2026 K리그1라이선스를 신청한26개 구단의 발급을 승인했다.
- K리그 라이선스 발급 기준은스포츠,시설,인사 및 행정,법무,재무,마케팅 및 세일즈,사회적 책임등 총7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SPORTALKOREA] 김경태 기자=K리그1, 2 26개 전 구단이2026시즌K리그1참가 자격에 해당하는'K리그1라이선스'를 모두 취득했다.
클럽자격심의위원회는 이달22일(수)회의를 통해'2026 K리그1라이선스'를 신청한26개 구단의 발급을 승인했다.
클럽자격심의위원회는K리그 클럽 라이선스 발급을 심의하는 독립 기구로서,매년 구단이 제출한 서류와 현장 실사 결과 등을 토대로'K리그 클럽 라이선싱 규정'에 따른 기준 충족 여부를 평가하고 라이선스 발급 여부를 결정한다. K리그 라이선스 발급 기준은'스포츠,시설,인사 및 행정,법무,재무,마케팅 및 세일즈,사회적 책임'등 총7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22일(수)열린 회의에서는 각 구단이 제출한 서류를 바탕으로 라이선스 심사가 진행됐다.특히 최근 재정난으로 선수단 임금 체불이 발생한 충남아산FC의 경우,구단이 제출한 경위서와 미래재무제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라이선스 발급을 승인했다.다만 올해 안에 임금 체불 문제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라이선스 발급 취소 여부를 재심의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결과에 따라K리그 전 구단이'2026 K리그1라이선스'를 취득하게 되었으며, 2026시즌K리그1참가 팀은 올 시즌 리그 최종 성적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라이선스 심의와 함께 내년부터 시행 예정인K리그2-K3리그 승강제 도입에 대비해K리그2클럽 라이선스 기준 일부를 검토하고,경기장 및 훈련장 시설 기준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를 진행했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Copyright ⓒ 스포탈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