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요약
- 대한축구협회는 15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경희궁로에 위치한 축구회관에서 2024 제1차 전력강화위원회를 열었고, 마이클 뮐러 기술위원장을 비롯한 기술위원 8명이 참석해 클린스만 감독의 거취를 두고 회의를 열었다.
- 그를 선임한 KFA와 정몽규 회장에게 비난이 쏟아지고, 여론이 가라앉지 않자 경질을 선택했다.
- 결국, 전력강화위원회가 경질에 의견을 모으면서 최종 결정의 몫은 정몽규 회장에게 쏠리고 있다.

[스포탈코리아=광화문] 한재현 기자= 대한축구협회 전력위원회가 결국 위르겐 클린스만과 동행을 안 하기로 했다. 황보관 기술본부장이 클린스만 감독과 경질에 동의한 과정을 설명했다.
대한축구협회는 15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경희궁로에 위치한 축구회관에서 2024 제1차 전력강화위원회를 열었고, 마이클 뮐러 기술위원장을 비롯한 기술위원 8명이 참석해 클린스만 감독의 거취를 두고 회의를 열었다.
최종 결론은 경질에 한 목소리를 냈다. 2023 아시안컵 4강 진출에도 최악의 경기력과 1년 동안 보여준 태도 문제, 팀 내 갈등까지 터지면서 장악력 실패 등 어느 것 하나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전 국민들이 하나된 목소리로 클린스만 감독의 경질을 촉구했다. 그를 선임한 KFA와 정몽규 회장에게 비난이 쏟아지고, 여론이 가라앉지 않자 경질을 선택했다. 이후 열릴 2026 북중미 월드컵에도 끼칠 악영향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황보관 기술본부장은 회의를 마친 후 오후 3시 30분 축구회관 1층 로비에서 브리핑을 열고, 클린스만 감독 이날 회의 과정을 발표했다. 당초 2시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2시간 가까이 지연되어 4시에 열렸다.
그는 “이날 전력 강화위원회는 클린스만 감독과 아시안컵 보고와 기술위원간 질의 응답, 대표팀 운영과 감독 거취에 관련된 논의가 있었다”라며 “기술위원들 모두 부족한 근무 태도로 인해 팬들과 국민들을 무시하고 약속을 지키지 못한 클린스만 감독의 태도를 문제 삼았다. 이외에 새로운 선수를 발굴하려는 의지와 내부 갈등을 파악하지 못했다. 더는 근무로 인해 이슈가 되어서는 안되는 점을 위원들이 강조했다. 결국,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한 클린스만 감독 교체가 필요하다”라고 클린스만 감독 경질 필요성을 선언했다.

결국, 전력강화위원회가 경질에 의견을 모으면서 최종 결정의 몫은 정몽규 회장에게 쏠리고 있다. 정몽규 회장의 최종 승인이 떨어지면 클린스만 감독은 1년 만에 한국 대표팀과 인연을 종료 한다.
문제는 위약금이다. 알려진 예상 위약금은 최대 1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축구협회 예산이 1천 억원이 넘어가지만, 최근 천안 축구센터 건립으로 많은 예산을 쏟아 붇는 상황에서 위약금은 큰 부담이다.
황보관 기술본부장은 브리핑 내용을 정몽규 회장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정몽규 회장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이하 황보관 기술본부장 브리핑 전문
금일 전력강화위원회 회의는 마이클 뮐러 위원장 포함 8명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는 클린스만 감독과 2023 아시안컵 결과보고, 위원과 질의 응답, 대표팀 운영과 감독과 관련된 논의가 있었다. 대표팀 운영은 질의응답을 마친 감독과 화상회의에서 나왔다. 위원장 주제로 토론을 가졌다. 위원들은 대표팀 감독의 역할에 논의를 했고, 대표팀이 월드컵 예선에 임하는 과정에서 거취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아시안컵 경기력은 요르단을 2번 만났음에도 전술적 준비가 부족했다. 재임 기간 중 선발에 있어 다양한 선수를 보고 발굴하려는 의지가 없었다. 선수단 관리에서는 팀 분위기와 내부 갈등을 파악하지 못했다. 지도자로서 팀의 규율이 부족했다. 부족한 근무 태도에서 국민들을 무시한 것 같고, 여러 약속을 지키지 못해 팬들의 신뢰를 잃었다. 회복이 불가능하다. 축구에서 그동안 대표팀 감독은 내용과 이슈가 주목 받았는데 근무 이슈가 주목 되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오늘 위원회에서는 감독 거취 관련해서 여러 이유로 더는 대표팀 감독으로 리더십을 발휘하기 힘들고 교체가 필요하다. 오늘 전력강화위원회 논의 내용은 협회에 보고 드리도록 하겠다.
사진=뉴시스
대한축구협회는 15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경희궁로에 위치한 축구회관에서 2024 제1차 전력강화위원회를 열었고, 마이클 뮐러 기술위원장을 비롯한 기술위원 8명이 참석해 클린스만 감독의 거취를 두고 회의를 열었다.
최종 결론은 경질에 한 목소리를 냈다. 2023 아시안컵 4강 진출에도 최악의 경기력과 1년 동안 보여준 태도 문제, 팀 내 갈등까지 터지면서 장악력 실패 등 어느 것 하나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전 국민들이 하나된 목소리로 클린스만 감독의 경질을 촉구했다. 그를 선임한 KFA와 정몽규 회장에게 비난이 쏟아지고, 여론이 가라앉지 않자 경질을 선택했다. 이후 열릴 2026 북중미 월드컵에도 끼칠 악영향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황보관 기술본부장은 회의를 마친 후 오후 3시 30분 축구회관 1층 로비에서 브리핑을 열고, 클린스만 감독 이날 회의 과정을 발표했다. 당초 2시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2시간 가까이 지연되어 4시에 열렸다.
그는 “이날 전력 강화위원회는 클린스만 감독과 아시안컵 보고와 기술위원간 질의 응답, 대표팀 운영과 감독 거취에 관련된 논의가 있었다”라며 “기술위원들 모두 부족한 근무 태도로 인해 팬들과 국민들을 무시하고 약속을 지키지 못한 클린스만 감독의 태도를 문제 삼았다. 이외에 새로운 선수를 발굴하려는 의지와 내부 갈등을 파악하지 못했다. 더는 근무로 인해 이슈가 되어서는 안되는 점을 위원들이 강조했다. 결국,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한 클린스만 감독 교체가 필요하다”라고 클린스만 감독 경질 필요성을 선언했다.

결국, 전력강화위원회가 경질에 의견을 모으면서 최종 결정의 몫은 정몽규 회장에게 쏠리고 있다. 정몽규 회장의 최종 승인이 떨어지면 클린스만 감독은 1년 만에 한국 대표팀과 인연을 종료 한다.
문제는 위약금이다. 알려진 예상 위약금은 최대 1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축구협회 예산이 1천 억원이 넘어가지만, 최근 천안 축구센터 건립으로 많은 예산을 쏟아 붇는 상황에서 위약금은 큰 부담이다.
황보관 기술본부장은 브리핑 내용을 정몽규 회장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정몽규 회장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이하 황보관 기술본부장 브리핑 전문
금일 전력강화위원회 회의는 마이클 뮐러 위원장 포함 8명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는 클린스만 감독과 2023 아시안컵 결과보고, 위원과 질의 응답, 대표팀 운영과 감독과 관련된 논의가 있었다. 대표팀 운영은 질의응답을 마친 감독과 화상회의에서 나왔다. 위원장 주제로 토론을 가졌다. 위원들은 대표팀 감독의 역할에 논의를 했고, 대표팀이 월드컵 예선에 임하는 과정에서 거취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아시안컵 경기력은 요르단을 2번 만났음에도 전술적 준비가 부족했다. 재임 기간 중 선발에 있어 다양한 선수를 보고 발굴하려는 의지가 없었다. 선수단 관리에서는 팀 분위기와 내부 갈등을 파악하지 못했다. 지도자로서 팀의 규율이 부족했다. 부족한 근무 태도에서 국민들을 무시한 것 같고, 여러 약속을 지키지 못해 팬들의 신뢰를 잃었다. 회복이 불가능하다. 축구에서 그동안 대표팀 감독은 내용과 이슈가 주목 받았는데 근무 이슈가 주목 되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오늘 위원회에서는 감독 거취 관련해서 여러 이유로 더는 대표팀 감독으로 리더십을 발휘하기 힘들고 교체가 필요하다. 오늘 전력강화위원회 논의 내용은 협회에 보고 드리도록 하겠다.
사진=뉴시스